경제활동(Economic activity) – 삶에 가치를 더하는 고귀한 행위

다양한 경제활동(Economic activity)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선행경기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진행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각각의 경제활동들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경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미래에도 좋아지거나 나빠지기는 반복순환하고 있습니다. 수입이 늘어나고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난다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의미가 됩니다.

쓸 돈이 많으면 기업매출도 늘어나고 기업의 매출이 늘어나면 노동자의 수입이 늘어납니다. 이러한 반복에 문제가 없다면 당연히 경기가 좋아질수밖에 없습니다.

목차

경제활동 주체가되는 사람들 사진. 길거리, 상점,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모습의 많은 사람들.
길거리, 시장,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사람들. 출처 – 구글검색결과

1. 경제활동 개요와 종류

사전적 의미의 경제활동 – 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얻기위한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크게 생산활동, 분배(공급)활동, 소비(구매 및 판매)활동으로 구분합니다.

경제활동 종류로 분류되는 ‘생산, 공급, 구매, 판매, 소비’는 경제주체의 의미가 되며 3대 경제활동 또는 5대 경제활동으로 불리기도합니다.

2. 경제활동 예시

경제활동이라는 용어가 어렵게 느껴질수도 있지만 쉽게말해 우리가 돈을 벌고 돈을 쓰는 모든 행동을 경제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를보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마트에서 생필품을 사는것도 경제활동입니다.

한편으로 축구를 하거나 산책을 하는등의 활동은 경제활동 범주에 들지 않습니다. 대신, 축구를 하기위해 축구용품을 구매하는 경제활동이 필요하고 산책을 하기위해 편한 운동화를 사는 것은 경제활동입니다.

엄밀히 말해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행동에는 경제적 활동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소비활동과 생산활동

3.1. 소비활동

3.1.1. 소비를 위한 소비활동

소비활동은 이름처럼 소비를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 3가지 요소는 의, 식, 주 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의식주해결을 위해 돈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옷을 사서 입어야하고, 음식을 먹기위해선 재료를 구매해야 합니다. 주거역시 집을 사거나 임대받기위해선 돈이라는 재화가 꼭 필요합니다.

단순히 옷을걸치고 먹고, 자는것만으로 끝나는것은 아닙니다. 취미생활, 문화생활, 교육비용, 의료비용등 삶이 끝날때까지 필요한것이 소비활동입니다.

3.1.2. 생산을 위한 소비활동

생산을 위한 소비활동은 주로 산업에서 이루어집니다. 모든 생산과정에는 소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농사를 짓기위해서는 비료와 농약을 구매해서 소비해야 합니다.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소비해야하고, 생산품의 원재료를 소비해야 합니다. 또, 생산노동자의 복지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활동을 해야합니다.

3.2. 생산활동

생산 활동은 말 그대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일’을 일컫습니다. 생산활동에 필요한 3요소는 토지, 자본, 노동입니다. 1차산업2차산업에는 3요소가 필수조건이지만 3차산업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3.2.1. 생산활동의 종류와 예시

농업, 어업, 축산업, 임업등 (1차산업) – 자연이나 가축에서 직접 얻는 생산활동이 있습니다.

광업, 제조업, 건설업등 (2차산업) – 생활필수재를 생산하거나 편의를위한 제품을 생산하는 활동이 있습니다.

금융, 서비스, 정보산업등 (3차산업) – 무형의 상품으로 정보, 편의, 만족등을 제공하기위한 생산활동이 있습니다.

4. 국민 가계의 경제활동

가계경제는 가정경제, 가족경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미시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수입(생산)과 지출(소비)하는 일련의 행동을 가계경제활동이라고 합니다.

가계경제는 기업과 구분하여 부릅니다. 1970년대에는 거시경제에 규모에 주목했습니다. 하지만 가계경제에서 이루어지는 구매력이 전체 시장 경제의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면서 중요한 경제매체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습니다.

4.1. 가계(가정)경제의 주요 요소

‘가계를 꾸려간다.’는 말을 종종합니다. 우리는 간혹 ‘가계경제가 휘청한다.’는 등의말을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살림살이’라는 말을 훨씬 많이 씁니다. 살림살이와 가계경제는 같은 맥락입니다.

가계경제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소득, 비용, 소비, 투자, 절약이 있습니다.

  1. 소득 – 가계경제 활동에 필요한 근본적인 요소 입니다.
  2. 비용 – 주택구매 및 유지나 소득을 위한 차량구매, 유지비용을 포함합니다.
  3. 소비 – 비용의 개념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생필품소비, 물사용료, 전기사용료, 식비등이 있습니다.
  4. 투자 – 연금, 보험, 주식에 소득의 일정액을 넣음으로써 경제활동에 안정을 요구합니다.
  5. 절약 – 위의 비용, 소비, 투자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에 해당합니다.

참고자료 : Household Production and the Household Economy

4.2. 거시경제에서 가계경제의 역할

기업과 가계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가계는 자원시장에서 판매자가 됩니다. 왜 구매자가 아닌 판매자가 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가계경제를 결정하는 요소에서 근본이 되는 것이 소득이라고 위에 설명했습니다. 이 소득을 얻기 위해 노동력과 지식과 그밖의 유·무형의 능력을 제공해야합니다.

제공에 대한 대가로 소득을 얻을 수 있으니 판매와 구매의 거래가 성립되는 것입니다.

또한, 가계는 상품과 서비스시장의 구매자역할을 합니다. 위의 활동으로 얻은 소득을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와 교환합니다.

기업은 상품·서비스 시장의 구매자가 되고, 자원 시장에서 역시 구매자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순환이 전체 경제활동에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참고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