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 – 국제적 공동화를 추구하는 영리 기업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company)이란 자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 영업점, 제조공장등을 둔 회사를 말합니다. 국가정책이나 정치적한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국내활동 해외활동을 구분하지 않고 기업의 이익이 있다고 판단되면 어디로든 진출합니다. 본사와 해외지사는 독립적인 이익을 관리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이익을 거점 현지 재투자를 원칙으로 합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미국의 스탠더드오일, 이스트먼코닥, 싱어, 매코믹, 나이키, 아디다스등이 있습니다. 한국기업으로는 삼성그룹, LG, 현대자동차그룹등이 있으며 많은 다국적기업은 그룹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목차

다국적기업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 다양한 기업 로고와 다국적기업을 연상하는 사진들.
다국적기업 관련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1.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company)의 뜻과 종류

다국적기업의 정확한 의미는 특정국가(주로 모국)가 아닌 다른 여러 국가에서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 및 통제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삼성(SAMSUNG)은 한국기업이지만 다국적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국적기업은 단순히 전세계로 확장하여 이윤을 극대화 하는데만 목적이 있는게 아닙니다.

다양한 국가에 기업의 생산력과 판매력을 분산시키면 여러가지 리스크에 따른 재무위험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오히려 하나의 국가에서 올인하는 형태의 기업경영이 훨씬 위험할수도 있습니다.

다국적기업의 기준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않습니다. 다만, 한 기업이 해외 사업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이 전체 수익의 1/4 이상 정도가 되면 인정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인터내셔널(Business International)지는 35% 정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명칭으로 국제기업, 초국적기업 또는 무국적기업으로도 불리지만 각각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1.1. 초국적 기업(transnational corporation)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하나의 통일된 비전을 지향합니다. 엄밀히 다국적기업 범주내에 포함되지만 다국적기업과 같은 의미로 부르기도 합니다.

1.2. 국제 기업(international company)

마찬가지로 다국적기업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업 전체 수익 중 해외 매출 비중에 상관없이 다양한 국가에 지점을 두고 있는 기업을 국제기업이라 칭합니다.

1.3. 무국적 기업 (stateless company)

무국적기업은 국적이 없는 기업이라는 뜻보다 국적의 의미가 없는 기업이라고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무국적기업이라는 용어는 간혹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자국의 기업이 무국적 취급받는 사실이 유쾌하지만은 않습니다. 의외로 해외에서 삼성(Samsung)이라는 브랜드국적이 한국(KOREA)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2. 전 세계 다국적 대표 기업과 순위

2.1. 2022 포브스지 선정 기업 순위

아래는 포브스지에서 제공하는 2022년 세계 기업 순위 리스트입니다.

한국의 삼성은 2000여개의 기업 중 14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순위집계기준은 기업의 매출, 순이익, 자산총액, 시가총액을 종합해서 순위를 집계합니다.

포브스 글로벌2000 선정 2022년 세계기업순위 표 - 다국적기업인 삼성이 14위에 있다.
데이터 출처 – 포브스 글로벌2000

3. 미국과 한국의 다국적기업 현황과 리스트 그리고, 취업

3.1. 미국의 대표 다국적 기업

AMD, Apple, NVIDIA, Google, Microsoft, McDonald’s, Meta, Burger King Coporation

Atari, Intel, General Motors, Coca-Cola, Tesla, Twitter, Pepsi

3.2. 한국의 대표 다국적 기업

삼성, LG,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GS, STX, 현대기아차, 금호아시아나, 휴맥스, SL, HMM, KCC

풀무원, SPC삼립, 두산, 현대 그룹, 한화, 코원시스템, CU, 한진, 아모레퍼시픽, SK, 셀트리온, 롯데, 코메론

3.3. 다국적기업 취업에 대하여

의외로 다국적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취준생이 많습니다. 자신이 어느 정도 스펙이 쌓여있다면 특색있는 회사를 희망하는것이 어쩌면 당연한 이치인지도 모릅니다.

위의 한국이나 미국의 대표 다국적기업 리스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대기업이 아닌곳이 없습니다. 물론 중소기업 중에서도 다국적기업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많은 다국적기업은 2차산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다국적기업이라고 취업에 특별한 조건이 필요하거나 제약이 있는건 아닙니다. 어떤 기업이든 회사가 요구하는 스펙이나 자질을 갖추었다면 대기업 취직이나 외국계회사 취직이나 다를게 없습니다.

다만, 기업의 본사가 위치한 국가에 따라 직장생활문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외국(현지)진출이 오래되었고, 지점이 위치한 나라의 직원이 많은경우 문화차이로 직장생활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4. 다국적기업 장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다국적기업은 기본적으로 규모면에서나 영향력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투자수용국 입장에서는 가장먼저 고용 창출효과가 나타납니다. 이렇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표면적 장점 때문에 다국적기업의 현지화 유치는 대체로 긍정적 평가를 받습니다.

특히, 투자수용국이 제3국이라면 기본적으로 대규모의 투자나 기술제공의 기회를 얻게됩니다. 선진경영기법이나 기업문화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가되고, 산업화나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수용국의 경제에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습니다. 다국적기업이 해외로 발을 뻗는 근본적인 목적은 현지국가의 이익이 아니기 때문. 대표적인 예로 코카콜라의 제3국진출이 제일 유명합니다.

현지의 경제발전에 공헌한다는 명분으로 제3국으로 진출하였지만 결국 만성적인 영양결핍에 시달리는 어린이들을 코카콜라의 소비자로 만들어버렸습니다. 고용창출과 산업화는 결국 빛을 받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사실 다국적기업의 출현은 많은 자본과 기술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정착하기는 하지만 결국에는 투자수용국의 자본시장으로부터 조달하게 됩니다. 심각한 경우 자본 독점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부정적견해에도 외국자본의 유입을 마다하지 않는 이유는 개발도상국이 가진 경제위기 또는 자본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다국적기업 유치 입니다.

다국적기업을 유치함으로서 경제성장을 이루는 등 많은 성공적인 사례로 인해 부정적 인식을 개선시켜왔습니다. 또한, 현대의 첨단기술 분야의 진입과 성공을 위해서는 다국적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때문에 투자수용국은 다국적기업을 현지에 받아들이고, 최대한 장점만을 끌어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5. 다국적기업 관련 참고 링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