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마케팅 – 도시와 지역의 가치상승을 위한 브랜드화 전략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 – 플레이스 브랜딩이라고도 불립니다. 장소마케팅은 도시와 지역의 브랜드화를 기본 목적으로하고 있습니다. 어떤 장소이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 부가소득이 생겨나게 됩니다.

전세계 많은 국가와 지역에서 지역의 브랜드화를 위해 장소마케팅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해외 및 서울 장소마케팅 사례와 예시를 들어 성공요인과 실패사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목차

장소마케팅 관련 구글 이미지검색결과 - 마케팅 관련 다양한 그래프 및 차트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 관련 이미지 – 출처 : 구글

1. 장소마케팅의 성공요인

장소마케팅의 성공이 가져다주는 가장 큰 이득은 해당지역경제의 활성화 입니다. 장소마케팅이 성공하려면 매력이 있어야 합니다. 거기다가 사연까지 깃들면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기관이나 단체의 마케팅활동이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단순히 특별해 보인다거나 역사적사연이 있다고해서 먼 곳에서 일부러 찾아오는 관광객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따지고 보면 한국의 어느장소, 더 나아가 세계의 어느 장소건 사연없는 또는 역사없는 장소는 없습니다. 인기있는 브랜드가 되려면 브랜딩을 잘 해야 합니다.

1.1. 성공적인 도시 브랜딩의 조건

“브랜드는 반드시 지켜야 할 약속”

장소마케팅을 장소브랜딩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도시 브랜딩 혹은 국가 브랜딩이란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장소마케팅의 본질적인 의미는 ‘장소에 대한 이미지를 투사하고 인식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장소가 가지는 스토리와 방문자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해야만 성공적인 장소마케팅을 이룰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브랜딩은 지역의 문화적가치와 정치적, 경제적 가치를 부각시킵니다.

장소 브랜드는 단순한 이름표가 아닙니다. 가치에 대한 약속이며 반드시 지켜야 할 약속입니다. 성공적인 국가·도시·장소 브랜드는 그곳의 역사, 장소의 퀄리티, 문화, 다양성등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할 의무를 가집니다.

장소의 인프라 향상을 위해 해당지자체와 주변장소 지자체 및 정부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2. 장소마케팅 사례

장소마케팅의 사례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전 세계 수많은 장소가 있지만 그 중 유명한 몇몇 장소만 소개하겠습니다. 장소마케팅은 랜드마크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2.1. 해외 장소마케팅 사례

우리는 프랑스 파리 하면 가장 먼저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을 떠올립니다. 미국 뉴욕이라 말하면 자동으로 자유의 여신상이 떠오릅니다.

그 외 영국의 ‘런던 아이’대 관람차와 노팅힐 거리, 베이징의 옛 골목 후통, 인도의 타지마할,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등이 있습니다.

장소마케팅은 쇠락한 도시의 이미지를 되살려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 사례로 스페인의 빌바오구겐하임미술관이 있습니다.

랜드마크 건축물 하나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엄청납니다. 위에 예로 든 구겐하임미술관이 있는 빌바오시는 철강도시로 유명했지만 1980년대부터 쇠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스크주와 빌바오시의 전략과 마케팅으로 미술관으로 탈바꿈한 후 현재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합니다. 장소마케팅전략에 성공한 대표적이 사례로 꼽을 수 있습니다.

학문적으로 가장 유명한 사례는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몰라도 예루살렘을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예루살렘은 ‘거룩한 도시’라는 아주 명확한 도시 브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루살렘이라는 랜드마크 내에서도 통곡의 벽, 성묘 교회, 정원 무덤등 수많은 성지가 있는 곳이 이곳입니다. 학술적으로 예루살렘은 수세기동안 장소마케팅을 진행한 가장 오래된도시라는 발표도 있습니다.

때문에 전세계에서 관광객과 순례자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수천년간 이어져온 순례는 예루살렘 역사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2.1.1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해외 도시 브랜드

  • 예루살렘 – “거룩한 도시”
  • 파리 – “빛나는 도시”
  • 시애틀 – “에메랄드 시티”
  • 뉴욕 – “나는 뉴욕을 사랑합니다.” ” I♥NY “
  • 네바다주 클락카운디 – “신시티”

2.2. 국내 장소마케팅 사례

우리나라에도 장소마케팅으로 성공한 사례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장소 몇 곳을 소개하겠습니다.

  • 경복궁 – 서울 종로구에 있으며 역사적인 장소와 역사박물관.
  • 감천 문화마을 – 컬러풀한 색채의 독특한 마을 풍경과 재래시장, 벼룩시장.
  • DMZ – 해외에서도 유명한 장소.
  • 불국사 – 종교적인 장소이며 역사적인 장소.
  • 수원화성 – 역사적으로 유서깊은 장소.
  • 명동 쇼핑 거리, 전주 한옥 마을, 한국민속촌, 롯데월드타워, N서울타워, 안동 하회 마을 등

수많은 한국의 랜드마크 중 외국 관광객의 인기를 가장 많이 받은 장소는 N서울타워라는 여행정보사이트의 투표결과가 있었습니다.

2.2.1 한국의 도시 및 지역브랜드

장소마케팅 필요 요소 중 하나인 지역브랜드 로고 모음 - 대한민국 광역시와 지역의 로고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지역 도시 슬로건 로고 모음
  • 서울 – “아이 서울 유”, “I SEOUL YOU”
  • 부산 – “다이나믹 부산”, “Dynamic BUSAN”
  • 대구 – “컬러풀 대구”, “Colorful DAEGU”
  • 인천 – “모든 길은 인천으로 통한다. 살고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 “all ways INCHEON”
  • 광주 – “대한민국의 미래”, “Your Partner GWANGJU”
  • 대전 – “대전 이즈 유”, “Daejeon is U”
  • 울산 – “울산 더 라이징 시티”, “ULSAN The Rising City”
  • 세종 – “세상을 이롭게”
  • 경기도 –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 “GO GREAT”
  • 강원도 – “소득 2배 행복 2배 하나된 강원도, 평화와 번영 강원시대”
  • 충청북도 –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
  • 충청남도 – “행복충만”, “CHUNGNAM Heart of Korea”
  • 전라북도 – “천년의 비상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생명의 땅 전남, 생명의 땅 으뜸”, “Full of Life, JEONNAM”
  • 경상북도 – “새바람 행복”, “Pride”
  • 경상남도 – “브라보”, “Bravo”
  • 제주도 – “온니 제주”, “Only JEJU”

위에 나열된 도시브랜드 슬로건은 정책에 따라 바뀔수도 있습니다.

3. 제품 판매를 위한 장소 마케팅

마지막으로 다른 의미의 장소 마케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상기 내용은 장소 자체의 브랜딩과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라면 아래는 제품의 판매 홍보를 위한 장소선정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본문 내용은 소비자의 경제활동(Economic activity)과 연관성이 있습니다.

3.1. 백화점 또는 쇼핑몰

백화점이나 마트등에서 제품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제품의 판매를 위한 위치선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제품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지만 판매자 입장에서는 하나라도 더 판매하기 위해 소비자의 행동패턴이나 심리를 철저하게 분석합니다.

3.2. 판매점의 위치 전략

  • 독점 전략 – 회사가 제품을 하나의 소매점에 배치하는 전략으로 주로 고급제품판매를 위한 전략입니다.
  • 선택적 배치 전략 – 전체 판매점 중 지정된 몇 개의 소매점에만 배치하는 전략입니다.
  • 집약적 배치 전략 – 가능한 많은 매장에 제품을 배치하는 방법 입니다. 예를들어 초콜릿을 판매하는 회사는 마트 뿐만 아니라, 영화관, 편의점, 공항, 놀이공원 등 가능한 많은 판매점에 제품을 공급합니다.

4. 참고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