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업 – 정보통신업이라고도하며, (상업/운수업/금융업/서비스업)과 함께 3차산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신업의 개요와 통신사업 종류 그리고,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통신업 개요
통신업 은 3차산업에 속해 있는 서비스산업입니다. 3차 산업은 1차산업, 2차산업에서 생산된 자원을 소비자에게 판매 및 제공하는 산업입니다. 상업, 운수업, 금융업, 서비스업(금융업, 교육업)과 같은 분류에 있습니다.
우편 및 통신업 Postal activities and telecommunications
한국표준산업분류 – 국가법령정보센터
일반 대중이나 다른 사업체를 위하여 국내․외에 송달되는 우편물을 수집 및 배달하는 우편사업과 전신, 전화 및 기타 통신시설에 의하여 음성 또는 비음성 전달 요소를 전기식 또는 전자식 방법에 의하여 송달하는 전기통신업을 말한다.
2. 우편 및 통신업 종류
통신업과 정보통신업을 같은 맥락으로 보기도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통신업은 출판업, 방송업, 영상·오디오 기록물제작 및 배급업과 함께 정보 통신업 하위에 속해 있습니다.
2.1. 한국표준산업분류에따른 정보 통신업 하위 분류산업
- 정보통신업
- 출판업
- 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 영화, 비디오물,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 오디오물 출판 및 원판 녹음업
- 방송업
- 라디오 방송업
- 텔레비전 방송업
- 우편 및 통신업
- 공영 우편업
- 전기 통신업
- 유선 통신업
- 무선 및 위성 통신업
- 기타 전기 통신업
- 출판업
3. 통신업의 과거·현재·미래
통신은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했습니다. 소식을 전한다는 뜻의 통신은 소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통신의 사전적의미는 ‘소식을 전하다.’, ‘우편이나 전신·전화 따위로 정보나 의사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옛날로 거슬러가면 소식을 전하기위해 나팔을 부르거나, 불을피웠습니다. 또는, 비둘기나 새의 다리에 편지를 메달아 보내는 ‘전서구’가 있고, 조선시대에는 역참에 관용 말을 두어 통신수단(파발마)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인간과 사물에 관한 정보를 대신 이동해주는 서비스이지만, 물건을 운송하는것과 접객업과 같은 일반서비스업과는 구분되어 사용됩니다.
좀 더 정확한 의미의 통신업은 ‘통신수단을 보유하고 통신서비스 생산을 전담하는 일련의 행위’를 말합니다. 여기에서 통신수단이란 통신통로 · 통신기기 · 통신전달동력을 말합니다. 통신의 3대요소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통신서비스 산업이라고도 하는데 통신서비스산업은 통신서비스, 방송통신융합서비스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또, 전기통신사업법상 기간통신, 별정통신, 부가통신으로 나누어져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산업은 내수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유는 사업지역이 국내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통신서비스 사용인구과 통신비 지출등에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이동통신 가입자의 보급률은 인구대비 100%를 넘어섰습니다. 네트워크기술과 고사양 스마트폰기기확산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서비스, 모바일커머스, 모빌리티등을 통하여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3.1. 전기 통신 역사
전기신호를 이용한 역사는 1876년 그레이엄벨의 전화기 발명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대적 정보통신역사의 시작으로 봐도 되겠습니다.
1896년 마르코니에 의해 무선통신이 개발되었고 이듬해인 1897년에 무선통신이 시작되었습니다. 디지털통신기술은 이보다 한참후인 1960년대에 등장하였습니다. 현대 인터넷의 시초는 1969년 구축된 알파넷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알파넷(Arpanet)의 거듭된 진화로 1990년대 WWW(World Wide Web)가 등장하게되었습니다.
4. 통신업 시장 여건과 경쟁력
통신사업은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장관의 인·허가가 필요한 사업 입니다. 통신 시장은 수요가 존재하는 모든 국가의 국민을 대상으로 합니다. 사회구성이 형성된 장소라면 지구 어디라도 사업대상지역이 됩니다. 다른 산업과는 달리 성별과 연령 그리고, 소득수준을 크게 고려하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초고속 무선 네트워크 활성화에따른 데이터 관련 매출이 증가하고있는 추세입니다. 초고속인터넷(유선)과 일반유선전화서비스는 현재 경쟁완화 국면에 접어들었고, 경기변동의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방송서비스 또한 가입자 기반의 사업모델로 경기변동에 민감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듯 소득탄력성이 낮은 통신서비스의 특성때문에 경기침체에 따른 영향은 우려할 정도는 아닌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4.1. 정보 통신 기술 (ICT)
IT산업이 고조화되고 성숙되면서 여기에 상호커뮤니케이션이 추가된 ICT 기술이 최근 몇 년사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기존 IT산업이 일방적인 정보제공이 목적이었다면 ICT는 사용자간의 긴밀한 소통으로 정보소비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충족시키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은 라디오, 텔레비젼,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위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든 통신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데이터와 시스템 손실이 적어 경제적 이득이 있습니다.
ICT의 개념은 디지털형식으로 제공 및 소비하는 모든 정보를와 행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무척 광범위하고 현재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2022년 ICT에 지출될 예산이 6조달러가 넘는다고하니 쉽게 짐작하기 어렵니다.
ICT 기술중 주목해야할 부문으로 나노기술, 디지털트윈, 증강가상현실, 3D프린팅, 서버리스컴퓨팅, 양자컴퓨팅, 블록체인, 엣지컴퓨팅, 자연어처리, 딥러닝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딥러닝과 자연어처리는 인공지능(AI)범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